올림픽은 순수하게 스포츠를 통해서 온 지구촌이 하나가 되는 그야말로 지구촌의 축제이다. 그런데 일본이 올림픽을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도구로 사용하려는 모습과 자신들의 정치적 주장을 펼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려는 모습을 곳곳에서 보이고 있다.
국가 원수의 초청
한 나라가 다른 나라의 국가 원수를 예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기본적인 외교이다. 그리고 올림픽을 개최하는 나라는 세계의 모든 나라들을 향하여 그 나라들의 국가 원수를 초청하는 초청장을 공식적으로 그리고 일괄적으로 발송하는 것은 올림픽 개최국으로서 매우 기본적인 의무일 것이다. 그리고 적극적으로 올림픽에 참석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도 매우 기본적인 의무에 해당한다. 그렇게 해서, 일본에서 개최되는 올림픽에 보다 많은 해외 정상들이 국빈으로 참석을 하게 되면 그것도 개최국으로서 일본에게는 반드시 긍정적인 모습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일본은 그런 너무도 자명하고 기본적인 것을 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 차별을 하는듯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정치의 수단
뉴스에서 최근 보도한 바에 따르면 일본은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에게 올림픽에 참석해 달라는 요청을 했다고 한다. 그것도 거의 사정을 하다시피 했다고 한다. 그리고 만약 조 바이든 대통령이 어려우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라도 참석해 달라고 요청한 모양이다. 그러니까 일본은 지금 미국의 국가 지도자들이 참석하지 않을 것을 매우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한국에는 올림픽에 참석해 달라는 요청이 아직까지 없다는 것이다. 이제 올림픽이 불과 1개월 정도 남은 시점인데도 말이다. 보통 국가 원수들은 몇 개월 분량의 일정이 미리 계획되어 있다고 한다. 오늘 약속하고 내일 만나는 일은 불가능한 것이다. 일본이 그것을 모르지 않을 텐데 아직도 초청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한국으로써는 매우 불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그렇게 초청하지 않은 이유가 정치적인 이유라면 더욱 그러하다.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일본
일본의 대 한국 외교의 기조는 한국에서 종군 위안부 및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바람직한 대안을 만들어 온 이후에 본격적인 대화를 하자는 것이다. 그것은 두 가지 큰 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는 일본은 아직도 한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생각하는 모양이다. 피해자를 향하여 가해자가 그렇게 강짜를 부릴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대안은 일본이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는 종군 위안부 및 강제 징용 피해자 문제와 외교 및 올림픽을 연결시키는 것은 매우 근시안적이고 단세포적인 사고가 아닐 수 없다. 종군 위안부와 강제 징용 피해자들의 문제는 그 해당 부서에서 해결하고 올림픽 문제는 올림픽 담당 부서에서 진행해야 하는데 일본은 모든 사안을 하나로 보고 있는 모양이다. 물론 모든 일이 공적이 일이기는 하지만 그것이 바로 공과 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올림픽을 정치의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말이 되는 것이다.
'국내외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왕도 반대한 도쿄 올림픽 (0) | 2021.06.25 |
---|---|
권력을 향한 마음 (0) | 2021.06.25 |
육하원칙의 적용 (0) | 2021.06.23 |
수술실 CCTV와 세계의사회장 (0) | 2021.06.23 |
고대 로마의 사형 방법인 식형 (0)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