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외 시사

노동자들의 안타까운 죽음

by upright-life 2022. 1. 24. 20:51

노동자들이 연일 안타깝게 사망하는 사고가 이어지고 있다. 사고를 막을 수 있는 조치를 충분히 취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게 그렇게 어렵나 보다. 그래서 정부는 중대 재해 처벌법을 재개정해서 2022127일 목요일부터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왜 중대 재해 처벌법이라는 특별법이 필요한 것인가?

 

 

 

전국 사망자 수

2021년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산재 사고로 사망한 노동자가 828명에 이른다. 이는 하루 평균 2.27명이 안타깝게 산업 현장에서 사망했다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이 828명의 산재 사망사고는 사전에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였다고 한다. 이렇게 많은 숫자의 노동자들이 안타깝게 사망하는 것을 저지하고자 중대 재해 처벌법을 만들어 시행을 앞두고 있다. 그 법이 만들어진다고 해서 산재 사망사고를 직접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 단지 처벌로 인한 사고 억제력을 강화하자는 의미일 것이다.

 

산업현장-노동자
산업현장의 노동자

 

중대 재해 처벌법의 골자

산업 현장에서 중대 재해가 발생할 경우 1년 이상의 징역이나 혹은 10억 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는 것이 골자이다. 그러나 이 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조건이 하나가 있다. 산재 사망사고가 발생할 당시 사업주나 혹은 경영책임자가 안전조치 의무를 철저하게 시행하지 않은 경우이다. 이 법이 2022127일에 시행이 된다. 그러나 50명 미만의 사업장인 경우에는 2024127일까지 이 법이 유예되고 5인 미만의 사업장은 숫제 이 법에서 완전 제외가 된다. 그러니까 50인 이상의 사업장인 경우 2022127일 이후부터는 사업주나 혹은 경영 책임자가 안전조치 의무를 철저하게 시행해야만 하는 것이다.

 

 

 

경영계의 반발

그렇다면 경영계에서는 이 법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어떤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인가? 경영자들이 주장하는 바의 골자는 이렇다. 이 법이 시행되면 기업 활동이 매우 위축될 것이다. 그것은 곧 대한민국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법은 안 그래도 경제가 어려운데 어려운 경제를 더 악화시키는 법이라고 항변한다. 우리는 2021년 전국 산재 사고로 인해 사망자가 몇 분인지 숫자를 확인했다. 그리고 그것을 막기 위한 법의 세부 내용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그 법에 대한 경영자들의 의견도 들었다. 이제 판단은 국민들의 몫으로 돌아왔다.

 

'국내외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 쇼트트랙 신기술  (1) 2022.02.09
대통령 선거 TV 토론  (0) 2022.01.27
오미크론 맞춤형 코로나-19 방역체계  (0) 2022.01.24
독도가 연상돼 거부  (0) 2022.01.23
근주자적 근묵자흑  (0) 2022.01.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