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외 시사391 자중지란 당연한 현상 어떤 조직이나 단체가 분해되는 가장 치명적인 요인이 바로 자중지란(自中之亂)이다. 말 그대로 풀면 내부에서부터 전쟁이 시작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자중지란의 상황을 우리는 주변에서 매우 흔하게 목격하게 된다. 그렇다면 자중지란은 왜 일어나는 일인가? 어떤 일부 조직이나 사람에게서는 자중지란이 당연한 결과로 나타나는 상황도 있다. 그만큼 기초가 튼튼하지 못한 것이 이유가 될 수 있다. 오늘은 자중지란에 대해서 고민해 본다. 자중지란의 의미 우선 자중지란(自中之亂)이 가지고 있는 각 글자의 뜻을 알아보자. 매우 쉽다. 스스로 자(自), 가운데 중(中), 어조사 지(之), 어지러울 란(亂)으로 구성된 사자성어이다. 이 네 글자를 단순 조합해서 해석하면 스스로 어지럽다는 말이다. 너무 쉽다. 조금 더 나아가면 .. 2024. 4. 21. 20:15 공포로 만들어진 평화 공포심을 유발하여 평화를 만든다. 매우 역설적인 문장이다. 왜냐하면 공포와 평화는 공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캐나다에서 공포로 만들어진 평화가 있다고 해서 화제이다. 과거 독재 시대나 냉전 시대에는 그 정권에 의해서 만들어진 평화가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2024년 캐나다가 그러한 정책을 만들리는 만무하다. 그렇다면 캐나다는 어떻게 공포로 평화를 만들었는지 궁금하기 그지없다. 그 속으로 들어가 본다. 횡단보도의 공포 일반적으로 인도는 사람이 다니는 길이고 차도는 차량이 다니는 길이다. 그래서 사람이 인도로 가거나 차량이 차도로 간다면 아무런 사고의 위험성이 없다. 문제는 사람이 차도로 내려가거나 혹은 차량이 인도로 올라왔을 때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발생한 교통사고는 간혹 치.. 2024. 4. 5. 10:42 천방지축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람들 예전부터 정신 못 차리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 천방지축(天方地軸)이다. 그런데 그냥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이 아니고 상식 이하의 행동을 하는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에 더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래서 천방지축을 아주 쉽게 설명할 때 종종 성견(成犬)이 되기 전의 개춘기 강아지가 정신없이 돌아다니는 것에 비유하기도 한다. 그러한 천방지축을 매우 여실히 보여주는 사람들이 있다. 오늘은 천방지축의 의미를 살펴본다. 천방지축(天方地軸) 단어 뜯기 천방지축은 하늘 천(天), 모 방(方), 땅 지(地), 굴대 축(軸)으로 이루어진 사자성어이다. 여기에서 모 방이라는 단어는 방향을 나타낼 때 사용되는 단어이고, 굴대 축은 말 그대로 우리말 굴대를 이르는 말이다. 이렇게 단어만 나열하면 그 의미가 쉽게 다가오지 않는다. .. 2024. 4. 4. 13:51 아전인수의 오류 사자성어 가운데 아전인수(我田引水)라는 말이 있다. 이 사자성어를 우리는 통상적으로 ‘내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 말은 극도의 이기주의를 나타내는 말로도 사용하기도 한다. 결국 아전인수(我田引水)는 매우 부정적인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아전인수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첫 선입견이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오늘은 이 아전인수(我田引水)의 뜻을 살펴보고 과연 ‘내 논에 물 대기’라고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 알아본다. 아전인수의 뜻풀이 아전인수(我田引水)를 단어 하나하나 뜯어서 살펴보도록 하자. ‘아’는 나 아(我)로 나를 지칭하는 단어이다. 자아(自我)를 말할 때도 사용된다. ‘전’은 밭 전(田)으로 뽕나무 밭이 푸른 바다로 변한다는 상전벽해(桑田碧海)에서도 사용되는 단어이다. ‘인’은 끌 인.. 2024. 3. 28. 12:39 결자해지로 읽는 세상살이 결자해지(結者解之)라는 말이 있다. 일을 꼬이게 만든 사람이 그 매듭을 풀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아주 쉽게 말하면 사고를 친 사람이 책임을 지고 그 사고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오늘의 사자성어인 결자해지(結者解之)를 가지고 세상을 읽다 보면 공통적 특징이 보인다. 그리고 그 특징은 보기에 따라서 분노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재미있기도 하다. 결자해지(結者解之)로 읽는 세상살이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본다. 결자해지의 의미 결자해지(結者解之)의 각 글자가 가지고 있는 뜻을 살펴보자. 결(結)은 맺을 결이다. 그리고 자(者)는 누구나 아는 대로 놈 자이다. 하지만 이 말은 사람을 지칭할 때 사용되는 말이다. 해(解)는 풀 해이다. 그리고 마지막 지(之).. 2024. 3. 26. 19:24 권모술수가 상식인 세상 권모술수(權謨術數)라는 말은 내가 어떤 이루고 싶은 것이 있다면 그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말하는 수단과 방법은 나쁜 수단과 나쁜 방법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권모술수는 매우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렇게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사자성어가 마치 상식인 것처럼 사용되거나 혹은 행해지는 세상이 있다면 그 사회는 결코 바람직한 사회 혹은 세상이라고 부르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다. 권모술수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권모술수의 직역 한자 사자성어인 권모술수(權謨術數)를 이루는 각 글자들을 뜯어서 살펴보자. 우선 첫 글자인 권(權)은 권세 권, 혹은 저울질할 권이다. 모(謨)는 꾀 모, 계책 모자이며 술(術)은 수단과 방법을 나타내는 꾀 술이고 마지막 글자인 수(數.. 2024. 3. 20. 10:32 자동차세와 의료보험료의 신비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이 있거나 혹은 직업이 없더라도 독립세대를 이루고 있으면 반드시 조세와 준조세를 납부해야 한다. 일반 국민들이 이 조세와 준조세를 이해하기는 상당히 어렵다. 그래서 납부하라는 통지가 오면 그냥 납부한다. 의문점이 있더라도 질문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질문에 대한 답변을 이해하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한 산술적 수치가 너무 상식에 어긋나면 어떻게 납득해야 할지 막막하기만 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자동차세와 의료보험료(지역)이다. 자동차세의 신비로움 대한민국은 자동차세를 취득할 때에도 납부를 한다. 또한 보유 중에도 보유세를 납부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일명 자동차세이다. 대한민국은 그 자동차세를 책정할 때 배기량을 기준으로 한다. 배.. 2024. 3. 19. 22:04 인디언 기우제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서 극한의 인내와 최대한의 노력을 의미하는 말이 일명 ‘인디언 기우제’이다. 이렇게 말하면 매우 긍정적인 의미로 들릴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말이 ‘불의’나 ‘불공정’과 만나면 이루 말할 수 없는 참혹한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나 민주주의 사회에서 있어서는 안 될 일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오늘은 이 인디언식 기우제가 무엇이고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디언 기우제의 유래 우리가 통칭하는 인디언은 사실 인디언이 아니고 아메리카 원주민이다. 그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지역마다 부족을 형성하고 살았다. 그 가운데 애리조나에 거주하는 부족 중 호피족 혹은 푸에블로 인디언이라고 부르는 부족이 있다. 이들은 애리조나의 사막 기후로 인해 농사를 지어도 강수량이 부족.. 2024. 2. 27. 11:24 이전 1 2 3 4 5 6 ··· 49 다음